티스토리 뷰

반응형

 

혹시 특정 냄새를 맡고 잊고 지냈던 추억이 갑자기 떠오른 경험이 있는가. 심리학에서는 이를 프루스트 효과라고 부른다.

향기는 시각이나 청각보다도 기억과 감정을 더 강력하게 연결해주는 특별한 힘을 가진다. 

베튜 로즈의 냄새를 맡으면 스트레스 받던 마음이 편안해지고 꽃밭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이 글에서는 나만의 향수를 만들고자 하는 조향사 입문자들을 위해 잃어버린 향기 기억을 되살리는 네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1. 향기 다이어리로 기억을 기록하는 습관

향기 기록 다이어리는 일상 속 향기를 의식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오늘의 향기 관찰: 아침 커피 향, 점심 식사 후의 음식 냄새, 퇴근길의 꽃 향기처럼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향을 기록한다.
  • 기억과의 연결: 향기와 함께 떠오르는 추억, 감정, 인물 등을 구체적으로 적는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할머니 집 냄새’, ‘비 오는 날의 흙냄새’와 같은 키워드를 만들면 도움이 된다.

2. 추억의 장소에서 향기 찾기

향기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다르게 경험된다. 소중한 추억이 담긴 장소를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잊고 지낸 향기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

  • 방문 장소: 학창 시절 다니던 골목, 어린 시절 살던 집, 특별한 사건이 있었던 공원 등.
  • 감각 깨우기: 눈을 감고 깊게 숨을 들이마시며 공기 속 향을 느껴본다. 흙냄새, 오래된 건물 냄새, 풀잎 향 등이 기억을 자극한다.

3. 다양한 향기 제품 경험하기

시중에 판매되는 향수, 아로마 오일, 디퓨저는 향기 기억을 찾는 좋은 도구이다.

  • 향수 시향: 향수 전문 매장에서 다양한 향을 맡으며 특정 순간이나 사람을 떠올려 본다.
  • 아로마 오일 활용: 라벤더,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등은 긴장을 풀어주며 감정과 기억을 자극한다.

4. 예술 작품에서 영감 얻기

향은 시각과 청각 같은 다른 감각과도 연결된다. 영화, 음악, 미술 작품을 보며 그 분위기를 향으로 상상하는 것도 조향 훈련에 도움이 된다.

  • 음악 감상: “비 오는 날의 숲 향” 같은 이미지를 떠올린다.
  • 미술 작품 감상: “화려한 색채가 풍부한 꽃향기를 연상시킨다”와 같이 감각을 연결한다.

 

향기를 단순히 좋은 냄새로만 여기는 것이 아니라, 추억과 감정을 담아내는 매개체로 활용한다면 나만의 특별한 향수를 만들 수 있다. 조향 입문자에게 이 과정은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자기만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창작 행위가 된다. 이 글이 향기를 통한 삶의 기록과 향수 만들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09.15 - [분류 전체보기] - 실버케어 조향 실무 및 향기 입힌 돌봄

2025.09.15 - [분류 전체보기] - 조향사 자격증과 실버조향사의 직업 전망과 가능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