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25 3D프린터 박람회 총정리 | 혁신이 쌓이는 시대, 적층제조의 모든 것
2025년 국내외 3D프린터 박람회 일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산업용·건축용·의료용 적층제조 기술의 트렌드와 실제 전시 현황까지 모두 안내합니다.
1️⃣ 3D프린터 산업, ‘적층제조’로 진화 중
2025년, 3D프린팅 산업은 단순한 시제품 제작 단계를 넘어 제조 혁신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았습니다. 자동차 부품, 의료기기, 항공우주, 건축까지 —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은 ‘새로운 산업언어’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는 3D프린터 박람회들이 있습니다.
2️⃣ 국내 3D프린터 박람회 일정
📍 국제 3D프린팅 코리아 엑스포 (3D EXPO Korea 2025)
- 개최일정: 2025년 11월, 경북 구미
- 주제: “AI 시대를 여는 3D프린팅 기술”
- 특징: 산업용·건축용·의료용 3D프린터와 소재 전시, AI 모델링 세션, 정부지원관 운영 3D EXPO Korea는 국내에서 가장 실용적인 3D프린팅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꼽힙니다.
📍 인터몰드 코리아 2025 (INTERMOLD KOREA)
- 일정: 2025년 3월 11일~14일 / 킨텍스
- 내용: 금형·제조업 중심의 대규모 전시회로, 3D프린터 제조기술관이 별도로 운영됩니다.
- 특징: 금형과 적층제조의 융합, 자동화 공정 데모, 실시간 시연 프로그램
📍 서울 디지털프린팅사인 엑스포 2025
디지털 프린팅 중심이지만 3D프린팅 기기·소재 업체가 함께 참여합니다. 특히 2025년 전시는 ‘디지털 제작 기술 통합’이라는 주제로 확장되어, 인쇄·조형·제작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시도가 이루어집니다.
3️⃣ 해외 3D프린터 전시회 트렌드
🌎 RAPID + TCT 2025 (미국 디트로이트)
2025년 4월 8~10일 개최된 세계 최대 적층제조 박람회입니다. 500여 개 기업이 참가했고, 금속·플라스틱 기반의 하이브리드 프린팅 기술이 주요 테마였습니다. 교육 세션에서는 ‘디지털 트윈’과 ‘생산 최적화 알고리즘’이 뜨거운 화두였죠.
🇩🇪 Formnext 2025 (독일 프랑크푸르트)
11월 18~21일 개최 예정으로, ‘Sustainable Additive Manufacturing’이 핵심 키워드입니다. 자동차, 항공, 건축 등 산업별 세분화된 전시관과 함께, 3D프린팅 소재 리사이클링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TCT Asia 2025 (상하이)
아시아 시장의 대표 전시로,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부터 대형 산업용 장비까지 전 주기를 다룹니다. 올해는 AI 기반 구조 설계 도구가 다수 공개될 예정입니다.
4️⃣ 흙으로 만든 건축, 예술로 확장되는 3D프린팅
2025 오사카 엑스포에서는 3D프린팅으로 제작한 점토 구조물이 설치되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WASP사가 개발한 대형 프린터가 흙, 해조류, 점토를 혼합한 생태적 소재로 조형물을 제작했죠. 이런 시도는 단순한 기술 전시를 넘어, 3D프린팅이 예술과 지속가능성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3D프린터 산업의 다음 단계는?
3D프린팅 기술은 이미 ‘시제품’의 시대를 지나 ‘양산과 커스터마이징의 시대’로 진입했습니다. AI 모델링, 바이오 프린팅, 지속 가능한 소재의 등장으로 인해, 2025년은 ‘제조의 개념 자체가 재정의되는 해’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의 박람회는 단순히 신기술을 보는 자리가 아니라, ‘산업 생태계의 진화’를 체감하는 공간으로 발전하겠죠.
🔎 결론 | 3D프린팅, 세상을 ‘쌓아올리는’ 혁신
3D프린터 박람회는 단순한 전시가 아니라, 산업과 예술, 기술과 지속가능성을 연결하는 플랫폼입니다. 각 전시회마다 집중하는 분야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더 가볍게, 더 빠르게, 더 자유롭게’ 만드는 세상을 향하고 있습니다. 2025년의 박람회를 통해 우리는 그 혁신의 단면을 직접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