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한 번에 끝! 아이폰·티머니·환급쿠폰 충전
목차
① K-패스 핵심 요약
- 무엇? 대중교통(버스·지하철 등)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익월 환급해주는 제도(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최대 53% 등, 지역·유형별 상이).
- 언제 지급? 보통 다음 달 중 환급 포인트/쿠폰으로 지급(플랫폼별 지급일 상이).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산정.
- 어떻게 시작? K-패스 앱/누리집 회원가입 → 교통카드 등록(모바일티머니, 실물 K-패스 카드, 제휴사 카드 등) → 평소처럼 탑승.
② 아이폰에서 쓰는 법 — Apple Pay 티머니 K-패스
- Apple Pay에 티머니 추가 — iPhone의 지갑 앱 → 카드 추가 → Tmoney 선택 → 교통카드로 등록(익스프레스 교통카드 설정 추천).
- 모바일티머니 앱 설치·로그인 → K-패스 메뉴에서 교통카드 연동(Apple Pay 티머니).
- K-패스 앱/누리집(korea-pass.kr) 회원가입 후, 모바일티머니(Apple Pay 티머니)를 K-패스 결제수단으로 등록.
- 이후 아이폰을 단말기에 터치해 탑승 → 이용내역이 K-패스로 집계 → 익월 환급 포인트 지급.
주의 — iPhone은 Apple Pay 티머니를 써야 K-패스 집계가 됩니다. 다른 지갑/앱의 비호환 교통카드는 집계에서 누락될 수 있어요.
③ 티머니에서 쓰는 법 — 안드로이드/실물 포함
모바일티머니(안드로이드)
- 모바일티머니 앱 설치 → 로그인
- K-패스 메뉴에서 교통카드 연결 또는 K-패스 전용 카드 등록
- 탑승 시 휴대폰 NFC로 결제 → 익월 환급
실물 교통카드/제휴 카드
- 편의점·카드사 등에서 K-패스 전용 카드 또는 제휴 카드 발급/구매
- K-패스 앱/누리집에서 카드번호 등록
- 탑승 후 이용내역이 자동 집계
④ 회원가입·카드 등록(공통 절차)
- K-패스 앱 설치 또는 korea-pass.kr 접속 → 회원가입
- 교통카드 등록 — 모바일티머니(Apple Pay/안드로이드) 또는 실물/제휴 카드의 카드번호 유효성 확인
- 본인인증(PASS/문자) 및 주소지·자격(청년/저소득 등) 확인
- 등록 후부터의 탑승 실적이 환급 산정
⑤ 환급쿠폰(포인트) 지급·충전 확인
- 지급 방식 — 익월 중 플랫폼 지갑에 자동 적립(예: 모바일티머니는 T마일리지/충전금 형태, 네이버페이 교통카드는 충전금 자동지급 등).
- 확인 경로 — 각 앱의 교통카드 화면 → 충전/적립 내역에서 ‘K-패스 환급’ 라벨 확인.
- 충전(사용) 방법 — 적립된 환급쿠폰/포인트는 교통카드 잔액처럼 자동 사용되며, 필요 시 앱에서 충전금 전환 또는 추가 충전 가능.
- 지급일 예시 — 일부 플랫폼은 다음 달 20일경 자동 지급을 안내(정책·운영 사정에 따라 변동).
요약 — ‘환급쿠폰 충전’은 수동 충전이 아니라, 익월 자동 적립 → 잔액처럼 사용 구조라고 이해하면 편해요.
⑥ 자주 묻는 질문
| 질문 | 답변 |
|---|---|
| 월 몇 회부터 환급되나요? | 15회 이상 이용 시(가입 첫 달은 예외 인정) 익월 환급, 월 최대 60회 인정. |
| 아이폰도 되나요? | Apple Pay 티머니로 가능. 모바일티머니 K-패스에서 연동 후 사용. |
| 티머니 추가 혜택이 있나요? | 모바일티머니 K-패스 이용액에 대해 추가 마일리지 적립 프로모션이 수시 운영. |
| 환급금은 어디로 들어오나요? | 등록한 플랫폼의 교통카드 충전금/포인트로 자동 적립되어 사용됩니다. |
| 카드 발급은 꼭 해야 하나요? | 모바일(티머니/애플페이) 또는 제휴 실물카드 중 하나를 등록하면 됩니다. |
